“WT, KTA, 태권도진흥재단, 문체부 당연직 이사 업무조정 협의체로 바꾸어야 한다는 여론 높아”

국기원 이사 선임 관련해 제기된 공모·거래·담합 의혹에 복마전을 방불케 하고 있다.
지난 8월 6일, 현직 특정 이사 3명과 당연직 WT, KTA 이사 2인이 모처에서 이사 선출 관련된 논의를 가졌다는 정황이 드러나며 “이사 선임 공정성을 훼손하는 ‘짬짜미’ 의혹”으로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단체 간 이해관계를 조율해야 할 당연직 이사가 오히려 특정 국기원 이사 선임 두고 사전에 깊숙이 개입한 것은 국기원 발전에 대한 기대를 배신하는 행위이며, 전 세계 태권도인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벌어진 부끄러운 밀실야합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받아 마땅하다.
아울러, 일부 선출권을 가진 이사들이 별도로 모여 추천 3명에 대한 논의한 사실은 “이미 결과가 정해져 있다. 라는 세간의 의혹을 뒷받침한다“라고 지적했다.
국기원의 당연직 이사 제도 병폐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당연직 이사들은 선출이 아닌 해당 WT, KTA, 태권도진흥재단, 문체부 기관의 지위에 따른 자동 임명이어서, 조직 구성원의 선택·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아 책임성이 결여 임기 동안 업무평가 없이 자리를 보존하며 기관 간에 이해관계 충돌의 우려를 낳고 있다. 당연직 이사는 대부분 관련 기관·단체의 대표 자격으로 국기원 전체 이익보다 자신이 속한 단체의 이익을 우선할 가능성이 크다.
단체 간 협의·조정 기능을 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담합·거래의 창구로 변질되고 있으며 이미 오래전에 결성된 당연직 포함 일반 이사들의 정례화된 모임은 그 심각성은 큰 병폐로 대두되고 있다.
이제까지 밀실 의사결정과 폐쇄적인 소수 모임에서 이사 선임을 사전 조율 개인 일탈로 전락하며 인사, 예산, 규정 개정 등 핵심 사안이 투명하게 논의되지 않는다.라는 지적이 사실로 드러났다.
당연직 이사 제도는 원래 기관 간 협력과 균형을 위해 존재하지만, 현실에서는 권력 나눠 먹기·담합 구조로 변질되고 있어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이제라도 이사직 거래를 중단하고 공정성을 훼손하고 불공정한 선출 절차를 즉각 중단하고 특별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원점에서 재논의해야 한다.라는 여론과 함께 자체에 이런 일탈행위를 못 하게 하는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
이사추천위원회 이사 후보자 26명이 공개되고 12일 이사회가 예정되어 있어 이번 파장을 두고 컷오프된 이사 후보자와 이사회에서 탈락한 이사들의 정보공개 요청 등 큰 파문이 예상되는 가운데
시민연대는 경고하고 나섰다.
“이번 이사 선임 과정에서 공정성과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거나 단 하나의 의혹이라도 남는다면, 민·형사상 법적 대응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총동원하고, 관련자에 대해서는 국기원과 자택, 사무실 등에서 강력한 시위와 대규모 집회를 전개할 것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