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태권도 대표팀의 우시 2025세계선수권대회 남녀 희비가 명확하게 갈렸다.
남자 대표 팀은 5연속 종합우승을 달성하는 금자탑을 쌓은 반면, 여자 대표팀은 2022 과달라하라 세계선수권대회‘노골드’의 수모를 재연했다.
한국 대표팀은 중국 장쑤성 우시의 타이후 인터내셔널 엑스포 센터에서 열린 2025 세계선수권대회 마지막 날인 30일(현지시각) 남자 -74kg급 강재권(삼성에스원)과 여자 -52㎏급에 출전한 박혜진(고양시청)이 32강에서 탈락했다. 강재권은 크로아티의 마르코 고루빅에게 2대0, 박혜진은 스페인의 알마 마리아 페레즈에게 2대1로 각각 패했다.
한국 남자대표팀은 강상현(울산광역시체육회, +87kg급)과 서은수(성문고등학교, -54kg급)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생애 첫 태극마크를 달고 국제무대 데뷔전을 치른 성유현(용인대학교, -68kg급)이 은메달, 장준(한국가스공사, -63kg)과 서건우(한국체육대학교, -80kg급)가 동메달을 각각 추가하면서 금(120점) 2개, 은(50점) 1개, 동(30점) 2개로 이번 대회 종합우승(350점)을 차지했다. 2017년 무주 세계선수권대회 이후 5연패다.
한국에 이어 이란이 금,은,동 각 1개씩 따내며 종합 준우승(220점), 브라질이 금 1개, 은 1개로 3위(199점)에 각각 이름을 내밀었다.

세계선수권대회 데뷔전 금메달을 거머쥔 한국의 신성 겁 없는 고교생 서은수가 대회 최우수남자선수(MVP)에 뽑혔다.
여자 대표팀은 8개 체급 김유진(울산광역시체육회, -75kg급)이 유일하게 은메달을 따냈고 나머지 체급은 시상대에 오르지 못한 채 종합 9위를 차지했다.
노골드는 지난 2022년 과달라하라 세계선수권 이후 두 번째이고, 2023년 바쿠 세계선수권 충격의‘노메달’ 등 세계선수권 3회 연속 단 한 개의 금메달을 수확하지 못한 치욕으로 심각한 경기력 문제를 노출 시켰다.
이번 대회 여자부에서는 튀르키예가 금 3개, 은 1개, 동 1개로 여자부 우승(463점)을 차지하며 바쿠 세계선수권대회에 이어 종합우승 2연패를 달성했다.
브라질이 금 1개,은 1개로 준우승(191점), 금 1개와 은 1개를 획득한 헝가리가 3위(187점)에 각각 올랐다.
여자 –67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헝가리의 루아나 마르톤이 최우수여자선수(MVP)에 선정됐다.
한국의 남윤배 코치가 남자부 최우수 지도자로, 터키의 알리 사리 코치가 여자부 최우수 지도자로 각각 선정됐다.
남자 최우수심판에 요르단의 라이드 오만, 여자 최우수심판으로 파나마 수산 보야드가 각각 뽑혔다. 포르투갈이 대회 장려상, 뉴칼레도니아가 페이플레이상을 각각 수상했다.
한국 팀이 세대교체 과도기를 지나는 동안 우시에서는 2023년 바쿠에 이어 세대교체 바람이 불었다. 이번 대회에 출전한 180개 국가 중 26개 곳이 및 개인 중립자격 선수가 메달을 가져간 가운데, 메달리스트 대다수가 10대 후반이거나 20대 초반이다.
남자부에서는 전통의 강호 한국과 신흥 강국으로 떠오른 브라질, 우즈베키스탄의 저력이 돋보였고 태국, 튀니지 등도 금메달 사냥에 성공하며 만만치 실력을 보여 주었다.
여자부는 튀르키예의 초강세가 이어진 가운데 헝가리와 태국의 저력이 확인됐고, 브라질, 벨기에, 카자흐스탄 등이 만만치 않은 전력으로 다음 대회를 기약했다.
개최국 중국은 남녀 고른 활약에 9개의 메달(은 1개, 동 8개) 획득했지만 아쉽게도 금 획득에는 실패했다.
이번 우시 세계선수권대회는 역대 최다 국가가 참가했고, 대회 기간 내내 경기장을 찾는 관중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등 흥행 대박을 터트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대회 개막 후 6일 차인 29일까지 유튜브 스트리밍 생중계를 200만 명 이상 시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세계선수권대회는 오는 2027년 5월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개최된다.
⏰ 2025. 11. 02 : 일요일




